농산물의 유통 방식
실정을 잘 모르는 일부 귀농자들은 판로 걱정을 하는 경우도 본다만,
생업으로 이어온 전업농의 입장에서 판로는 걱정이 없다.
무슨 이야기냐면... 일단 공판장으로 출하를 하면 무조건 경매를 통해 판매가 되고 그날로 바로 입금이 된다.
가격이 문제일 뿐,결제 방식에 있어서도 현금 판매와 다름 없다.
비쌀 때는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부족한 만큼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는데
어쨋거나생산 원가와는 큰 관계가 없다는 속성을 잘 들여다 보아야 한다.
반대로 쌀 때는, 심지어 출하경비 이하로도 경매 낙찰이 되기도 하는데
경매사는 가격으로 '물건 받을 수 없으니 보내지 말라'는 의사표현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농민의 주고객은 경매에 참가하는 중도매인이다.
경매사는 농민과 중도매인 중간에서 양측의 이익을 적절히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조건 농민 편에서 고가에 낙찰되도록 유도하면 중도매인들이 다른 공판장으로 가게되고,
반대로 싼 값에 낙찰되게 하면 농민은 다른 공판장으로 물건을 보내게 된다.
그럴 경우 해당 공판장의 수익이 되는 경매수수료도 감소하므로
경매사의 역할은 경쟁 공판장의 흐름에도 민감해야 하고,
종종은 산지도 방문하여 출하량 예측조사를 하기도 한다.
경매사는 좋은 물건이 많이 반입되게 하기 위해
특정의 농가의 물건에 대해선 아주 좋은 가격으로 경매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그건 일종의 낚시밥이기도 하다.
농민들도 인터넷으로 그날의 경매시세를 살펴보며 어느 공판장의 가격이 좋은지 확인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을 주는 공판장으로 물건을 보내고 싶은 마음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저런 흐름을 생각하다보면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의 존재를 실감하게 된다.
농민 입장에선 좀 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선 품질관리도 해야지만
출하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차이 난다.
같은 물건이라도 어떻게 나누어 어떤 곳에 보내느냐에 따라 소득이 달라진다.
농민에게 이런 일은 참 골치아픈 일이지만 신경쓰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