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부의땅/농부의땅 2017

20170318 계룡산 5번째, 병사골-갓바위-신선봉-자연성릉

20170318, 계룡산 5번째

병사골-장군봉-갓바위봉-신선봉-큰배재-남매탑-삼불봉-자연성릉-관음봉-연천봉-갑사.

올해 10번의 목표 중 꼭 절반, 5번째의 계룡산행을 봄 농사 시작 전에 마쳤다. 포스팅은 없지만 그 사이 계룡산 4번째의 산행과 무등산에도 다시 한번 갔었다. 농사에 여유 있을 때를 이용해 가는 산행이지만 올해 계룡산행 10번은 채울 수 있을 것 같다.


이날은 가장 험한 코스에 이어 가장 멋진 코스까지 한번에 돌았다. 정상 컨디션이라면 8시간 코스로 잡으면 될 듯 하다. 거리는 대략 11Km 정도이지만 험해서 빨리갈 수가 없는 구간 때문에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박정자 삼거리에서 출발하여 병사골 탐방지원센터로 진입해서 장군봉~신선봉 구간이 험하다. 계속 바위봉우리를 타고 넘어야 하는데 군데군데 밧줄에 의지해서 오르내리는 구간이 있다. 반대로 보면 재미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사실, 전날 토마토 심을 준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앉았다 일어섰다를 반복하느라 다리에 살짝 알이 밴 상태였다. 예정대로 진행할지 중간에 하산할지는 현장에서 컨디션 보고 결정하려 생각하고 출발했다. 한참 힘들게 움직일 땐 대퇴부 근육이 녹는 것 같은 느낌이더니 쉬면서 회복하니 오히려 적응되어 갈만 했다.

 
 

↑ 공주에서 시내버스를 처음 타봤다. 대전행 300번 버스는 30분 간격으로 배차되고 있다.

 

동학사 입구이기도 한 '박정자 삼거리'엔 정자는 없고 기념비만 있다.

 

삼거리에서 동학사 방면으로 몇 걸음 걸다보면 개천이 있다. 개천가를 따라 한 50미터 내려가면 이런 보가 있고, 이 보를 건넌다. 이 개천가 주변에 차를 댈만하다보니 산객들이 주차한 차가 많이 보인다. 

 

병사골 탐방지원센터로 진입해서 장군봉에 이르는 중간에 뒤돌아본 박정자 삼거리. 

  

장군봉에 올라, 남매탑까지의 거리가 약 4Km. 장군봉에 오르기까지 경사도 급한 편이다.

 

 

 

사진상으론 경사를 느끼기 힘들지만 이런 로프 설치 구간이 곳곳에 있다. 맨 아래 사진은 혼자 셀카봉 세우고 찍을까 생각하며 갔던 구간인데, 마침 뒤따르는 산객이 있길래 한장 찍었다.

 

이 구간의 특징은 이런 암봉을 우회하지 않고 정상을 타고 넘는 식이다. 암봉을 내려서서 뒤돌아보니 나와 반대로 오르던 두 여성 산객들이 점심을 먹으려 준비하는 듯한 몸짓이 보여 한장 찍었다. (확대하면 알아볼 수 있으려나?)

 

위 암봉을 사진에 이어 동일 위치에서 폰의 광각으로 찍은 모습이다. 약간의 왜곡이 있긴 하지만, 우회하지 않고 정상을 타고 넘는 봉우리의 전체 윤곽을 볼 수 있다. 

 

 

 

 

 

 

 

장군봉~신선봉 사이의 풍경 사진 몇 장.

 

 

 그저 바위가 아니고 지나야 하는 능선 부분이다. 경사가 심하진 않지만 미끄러울 때를 대비하는 듯한 로프가 설치되어 있다.

 

남매탑에서의 간식. 점심은 나가면서 사간 김밥 한 줄을 진즉 먹었고, 코스 진행 상 간식을 먹어줘야 할 것 같았다. 시내버스터미널 좌측의 빵가게에서 산 3개 천원짜리 단팥빵과 믹스 커피 한잔~ 빵이 찌그러지는 게 싫어 저 빈통을 준비해 가서는 빵을 사서 넣었다.

  

삼불봉에 오르기 전, 높고 응달진 곳에만 이렇게 잔설이 남아 있다.

 

 

 

 

 

 

 

삼불봉~관음봉 사이의 자연성릉 구간 사진 몇 장.

 

하산길, 갑사를 지나며

 

갑사 주차장에 도착하니 시내버스가 막 들어오고 있었다. 갑사에서 공주 시내로 들어가는 버스는 약 1시간 간격으로 배차되고 있는데, 피곤한 참에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승차해서 등산화도 느슨하게 조정하며 시내까지 잘 왔다.

첫 서너시간을 힘들게 이동하고선 큰배재 도착 바로 전 휴식하며 스트레칭을 해주니 피곤한 몸을 추슬리는데 도움이 된다. 앞으로도 힘들지 않다고 무시하지 말고 중간중간 내 몸에 스트레칭을 해줘야겠단 교훈~

 

---

 

↓ 등산앱의 기록.

지난 달 성거산에 갔을 때 약 10Km에 1900Kcal이랬는데, 이날 11Km에 2500Kcal이란 걸 보니 칼로리 계산에 뭔가 좀 더 구체적인 요소가 반영되는 것 같다.